어떤 시대든 적의 의도를 꿰뚫어 볼 수 있는 정보수집능력은 전쟁의 승리조건이자 강한 군대를 만드는 원동력입니다. 인류가 최초로 도입한 군용기는 라이트 형제가 만든 라이트 플라이어로 미 군의 정찰임무용으로 도임됐습니다. 1차대전을 치룬 후 정찰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면서 정찰기는 전쟁의 필수적인 군 무기가 됐습니다.

 

이후 U-2, SR-71과 같은 전략 정찰기들이 개발되면서 정찰기는 국가안보의 필수적인 전략자산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본래 항공정찰은 공군의 임무였습니다.

 

하지만 미 육군과 해병대가 필요로 하는 정보 제공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히 베트남전쟁 당시 혼잡한 정보수집에 대해, 공군에게 수 차례 정보제공을 요구했지만 만족할만한 정보공유는 되지 않아 결국 육군이 나섰습니다. 

 

우선 급한대로 미 육군은 OV-1D  모호크에 최신형 센서패키지를 장착하여 정찰 탐지기를 운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U-2가 훨씬 활용범위가 넓지만, U-2는 공군자산이기 때문에 필요로한 전술적 요구에는 즉각적인 대응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육군이 별도로 운용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러나 OV-1D 모호크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에 탑승인원이 제한적이고 장착센서도 제한적이다보니 새로운 기체를 찾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항속거리와 체공거리도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후 미군은 그리즐리 헌터 사업을 실시했습니다. 그리즐리 헌터는 항공기에 최첨단 영상센서를 탑재하고 야간에도 지상의 표적을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리즐리 헌터 사업의 목표는 항공정찰자산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제국으로 보내 목표를 탐지하는 것이었습니다.

 

처음엔 RG-8A 항공기에 센서 장착, 이후에는 CASA-212 항공기와 스카이레이더(Skytrader) 800에 장착되어 운용시험이 계속됐습니다.

 

이후 스카이레이더 800이 최종적으로 그리즐리 헌터의 플랫폼으로 선정되어 기체의 이름은 UV-23 스카우트로 명명됐습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문제가 제기되면서 결국 드해빌랜드사의 DHC-7 항공기가 그리즐리 헌터의 장착기종으로 결정됐습니다. 

 

한편 1995년 주한미군 요청에 따라 새로운 항공정찰자산이 필요했습니다. 대한민국에 전진배치되었던 OV-1D 모호크의 운용연한이 거의 다해 이를 대체할 탐지 기체를 요청한 것입니다. 이에 영상정보와 통신정보의 기능을 통합하는 ARL-M을 구상하고 크레이지호크라는 사업명을 명명했습니다.

 

크레이지 호크 기체도 역시 CMI사에 의하여 개발되고 실전배치 됐습니다. 이 기체는 RC-7B라고 명명됐습니다. 이후 미군은 RC-7B를 다시 EO-5C로 재명명하기도 했습니다.

 

EO-5C는 한반도를 시작으로 이라크와 같은 여러 국가에서 맹활약을 해왔습니다. 현재 여전히 한반도에서는 핵심 항공정찰자산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미 육군은 ARL의 소요가 높아지고 EO-5C의 운용연한이 임박해오자 대체할 ARL-E(Airborne Reconnaissance Low-Enhanced)를 요청했고, 이후 드해빌랜드사의 대쉬-8 기체를 바탕으로한 RO-6A가 개발되었습니다. 

 

EO-5의 플랫폼은 캐나다에서 제작한 단거리 이착륙 수송기인 DHC-7입니다. 애초에 미 육군은 CASA-212와 스카이레이더 800을 생각하고 평가를 진행했지만 작전지속능력, 필수센서의 장착, 단거리 이착륙능력 등을 감안했을 때 결국에는 DHC-7이 선정된 바 있습니다. 조종사 2명이 운용하고 최대 8~10시간 동안 체공할 수 있도록 개조됐습니다.

Posted by 아카아카레

2003년 당시 노무현 정부가 진행했다가 실패한  프러젝트 중 한국형 원자력 잠수함 건조 계획이 14년 만에 부활한다는 이야기가 나돈적이 있습니다. 당시 청문회에서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원자력 잠수함을 건조해야 한다"는 의견을 을 피력한 바 있습니다.

 

한국형 원자력 잠수함 건조는 문재인 정부가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도 내건 대선 공약이기도 합니다. 송영무 후보자가 국방부 장관을 할 수 있을지 정해진 바 없지만, 문재인 정부가 내선 공약인만큼 원자력 잠수함 건조 가능성은 그 어느정부보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노무현 정부 시절 한국형 원자력 잠수함 건조 사업에도 관여한 이력이 있습니다. 당시 송영무 후보자는 기획참모부장이었기 때문에 한국형 원자력 잠수함 건조 사업의 진행 경과와 과정을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송영무 국방뷰 정관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드러난 의혹들과는 별개로 원자력 잠수함 건조 사업만 두고 봤을 때 원자력 잠수함 건조사업의 적임자인 건 분명합니다. 


 

하지만 넘어야 할 장애물들이 많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토론회에서 밝혔듯 군사적 목적으로 무기든 연료든 원자력 사용을 금지한 한미 원자력 협정을 하루 빨리 개정해야 원자력 건조사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미사일 탄두에 장착되는 잠수함의 동력원으로서의 원자력 사용에 대한 동의를 미국으로붜 받아야되기 때문입니다. 마음만 먹으면 1~2년 내에 건조해낼 수 있는 일본과 이미 원자력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과의 관계도 원만하게 잘 풀어나가야 될 것입니다.
 

원자력 잠수함 건조 사업이었던 362 사업은 당시 해군 대령이었던 문근식 한국국방안보포럼 대외협력국장이 맡아 추진한 바 있습니다. 더불어 김시환 박사(한국원자력연구소)를 팀장으로 원자력 추진기관 연구팀을 산하에 두고 추진했습니다.

 

이 팀은 진해팀으로도 불려, 원자로 잠수함용의 기본설계를 마치고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중소형 원자로 표준설계인가 직전까지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로 표준설계인가는 원자로 기술의 완성을 뜻합니다. 즉 건조 인가만 나오면 곧바로 건조업체와 계약을 맺고 건조를 할 수 있습니다.
 

362 사업의 팀장이었던 김시환 박사는 "우리나라의 원자로 설계 베테랑들의 실력을 감안하면 새로운 잠수함용 원자로 기본설계는 2년이면 충분하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문근식 예비역 대령은 "362 사업 때는 잠수함을 건조해 본 경험이 부족했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이어 "정부의 원자력 잠수함 건조 의지가 확실하고 국민적 공감대만 형성된다면 지금 얼마든지 건조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문근식 예비역 대령은 원자력 이용을 금지한 한미 원자력 협정에 관해 "20% 미만 농축 우라늄은 국제적으로 상업 거래가 되고 있다"며 "대한민국이 북한의 점증하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20% 미만 농축 우라늄을 에너지원으로 원자력 잠수함을 건조하겠다면 미국이 반대할 명분이 군색하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난 2014년 미국은 개정된 한미 원자력 협정을 통해 대한민국에게 20% 미만의 우라늄 농축을 허용한 바 있습니다. 20% 미만 농축 우라늄이라면 잠수함용 원자로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미국과 3년 전 원자력 협정을 개정했습니다. 개정한 내용으로는 20% 미만의 농축 우라늄을 평화적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어졌습니다. 잠수함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우라늄 사용을 평화적 사용으로 볼 수 있는지는 미국이 판단을 해야 됩니다. 그만큼 이점을 미국이 동의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원자력 잠수함을 보융할 수 없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원자력 잠수함을 건조하게 되면 옆나라 일본도 만들겠다고 피력할게 뻔할겁니다. 원자력 잠수함은 군사 강대국들의 전매 특허 무기체계입니다.

 

이 특허 무기체계를 너도나도 보유하면 미국의 군사적 영향력을 잃게 됩니다. 그런만큼 원자력 잠수함을 건조하겠다면 대한민국 정부는 전력을 다해 어떻게 해서든 미국을 설득해야 합니다.

Posted by 아카아카레

근래에 북한이 기갑전력을 증강시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군 전문가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005년부터 폭풍호를 개발, 지난해 6월 중순부터 개발 중인 선군호를 비롯해 천마 5호와 같은 신형 전차 900여 대를 배치했습니다. 또한 서해 5도 수역엔 해안포를 증강 배치하는 등 위험한 도발 징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북한이 열병식에 선보인 98년식 ‘선군 915호’는 중량 44톤 중형 전차로 장갑 능력이 크게 보완됐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복합장갑을 전면에 덧대어 방호능력을 끌어올렸고, 지난 ‘폭풍호’보다 화력은 물론 기동력까지 크게 향상됐다고 군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에 최근에 우리 국군도 공격용 헬기와 헬기 탑재용 대전차 미사일을 추가 배치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전차 상부 공격을 할 수 있는 뛰어난 스파이크(Spike) 미사일은 차량에 탑재돼 현재 서해 5도에 배치돼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증강배치되는 스파이크 미사일은 해상용 공격헬기 ‘와일드 캣(Wild cat)’을 플랫폼으로 하는 헬기 탑재방식입니다. 해상 공격헬기에서 발사된 스파이크 미사일 NLOS(Non Line Of Sight)의 경우, 최대 사거리가 25㎞입니다.

 

이 스파이크 미사일은 멀리서 적의 해안포 갱도를 향해 발사한 후, 조종사가 신속히 현장을 이탈이 가능해 생존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4세대 유도미사일입니다.

 

1950년 소련제 T-34/85 전차를 앞세워 북한군은 속도전으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사흘 만에 함락했습니다. 당시 전차 한 대도 없었던 우리 국군은 57mm 대전차포로 대응했지만 강력한 주물 장갑을 뚫을 순 없었습니다. 

 

방법은 단 하나 북한군 전차에 맨몸으로 맞서는 육탄 공격뿐이었습니다. 이후 미군으로부터 지원받은 3.5인치 휴대용 대전차포는 T-34/85 전차의 장갑을 관통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후 2세대 SACLOS(Semi-Automatic Command to Line-Of-Sight)를 거치고  3세대 발사 후 망각 방식(Fire & Forget)을 거쳐 이젠 4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에 이르기 했습니다.

 

4세대 대전차 유도 미사일은 과연 무엇일까요? 4세대 대전차 무기인 스파이크 NLOS 장거리 유도미사일은 중량이70kg입니다, 사정거리 25km입니다. 이 스파이크 미사일은 모듈 화를 통해 보병이 휴대할 수도 있고 차량에 탑재도 가능합니다. 게다가 공격헬기에도 장착할 수 있어 다각적인 운용이 가능합니다.

 

발사 방식도 남다릅니다. 3세대 이후  발사 후 망각 방식(F&F)에 탑 어택(Top attack) 방식을 운용합니다. 방식에 대해서 설명을 하자면, 탑 어택 방식은 유도미사일이 곡사탄도를 그리며 적 전차의 상부를 관통하는 사이 센서가 표적을 감지해 상부 장갑을 타격, 관통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군 전문가들에 의하면 “흔히 전차는 지상의 왕자로 불린다. 하지만 무거운 중량을 줄여서 기동성을 늘리기 위해 장갑을 약하게 한 부분이 있어 차체 밑 부분, 전차의 엔진이 있는 후부, 해치가 달린 포탑 상부가 특히 약한 장갑을 장착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서 이 점들이 특히 공격헬기에 취약성을 갖습니다. 군 전문가들은 이어 “특히 공격헬기에서 발사하는 미사일은 높은 고도에서 발사한다. 그래서 더 파괴적이고 위력적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 이유는 고도가 높을수록 공기가 적어지기 때문에 저항이 감소돼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적 전차, 갱도 진지보다 높이 떠서 발사하면, 발사된 미사일이 하강, 날게 되면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돼 위력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사거리와 관통 능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공격헬기 탑재용 스파이크 미사일이 적 전차뿐만 아니라 사거리가 먼 적의 해안포 진지에 정밀 타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아카아카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