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함은 최첨단 무기가 구축된 함으로 세계 최강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세종대왕함의 이지스 시스템은 반경 1,000km 밖에 있는 비행기를 무려 900여 대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스빈다. 또한 적의 탄도미사일 궤적까지 탐지할 수 있는 능력도 탑재 돼 있습니다.

 

세종대왕함의 탑재된 레이더를 활용하면 기존 전투와 다르게 전투를 벌일 수 있습니다. 인근에 떠 있는 비행기, 군함을 명중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100대가 넘는 전투기가 세종대왕함에 한꺼번에 달려들어도 상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으니 두려울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군 전문가들은 능력좋은 세종대왕함도 취약점 있다는 지적을 합니다. 바로 “잠수함과 싸우는 능력이 부족하다” 점입니다. 아무리 뛰어난 레이더도 물속에서는 전파가 통용되지 않기 때문에 잠수함의 어뢰 1발에 격침될 수도 있다는 겁니다.

 

물론 이런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약 1,000억 원을 들여 새로운 무기를 개발해 냈습니다. 바로 ‘홍상어’ 라는 무기입니다. ‘로켓’의 일종으로 최고의 공격성능을 갖추고 무기입니다. 세종대왕함을 비롯한 모든 군함에 장착해 운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 이 홍상어는 어떻게 해서 잠수함과 대적할 수 있는 것일까요. 홍상어는 로켓이지만 바닷속을 헤엄쳐 적을 공격하는 ‘어뢰’이기도 합니다.  ‘대잠로켓’ 이라고도 불리는데, 미군에선 아스록(ASROC: Anti Submarine ROCket)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홍상어가 개발하기전 두 종류의 최신형 어뢰를 개발한 바 있습니다. 바로 백상어와 청상어인데, 파괴력이 높은 중어뢰 ‘백상어', 헬리콥터나 군함에서 물속으로 쏘아 넣어 적 잠수함을 공격하는 경어뢰 ‘청상어’입니다.

 

두 가지 어뢰 모두 뛰어난 성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어뢰라는 무기의 단점은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바닷속을 헤엄쳐 가야 하는 어뢰의 공격속도는 50노트 밖에 되지 않습니다. 자동차보다 느립니다. 어뢰를 발사했다는 일찍 눈치 챈다면 회피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홍상어는 로켓에서 어뢰로 변신하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백상어나 청상어는 처음부터 물속을 헤엄친 후 적을 타격하지만, 홍상어의 경우 일단 적의 잠수함 근처까지 하늘로 날아갑니다. 그 후 몸체를 쪼개며 로켓 머리 부분에서 어뢰를 낙하산에 매달아 물속으로 입수시킵니다.

 

물속에 들어온 홍상어는 이젠 로켓의 역할이 아닌 청상어와 똑같아집니다. 청상어 역시 보통 어뢰는 아닙니다. 액티브 소나 유도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데, 삐이 소리를 낸 후 그 반사음을 분석해 적이 어디에 숨어있는지를 찾아내는 방식입니다. 청상어를 피하기는 어려운 일입니다.

 

홍상어의 다른 특장점은 길어진 사정거리입니다. 보통 어뢰의 사정거리는 아무리 길어봐야 수 km입니다. 더군다나 이렇게 먼 거리에서 어뢰를 쏘면 웬만한 잠수함도 쉽게 눈치를 챕니다. 

 

그래서 명중시키려면 위험을 무릅쓰고 근처까지 다가가 공격해야 합니다. 하지만 홍상어의 사정거리는 19km를 넘어서 적의 사정거리 밖에서도 공격이 가능합니다. 즉 적 잠수함은 세종대왕함을 공격할 수 없고, 세종대왕함은 적의 머리위에 어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겁니다.

 

현대전은 정보전입니다. 먼저 적의 위치와 행동을 알고 타격하는 자가 승리하게 됩니다. 짙고 어두운 바다 깊은 곳, 어뢰와 잠수함이 벌이는 소리의 싸움은 서로를 추적하는 심리전이기도 합니다.

 

삼면이 바다인 대한민국은 해군력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우위를 확보해야 안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첨단 음향과학기술로 만들어 낸 홍상어, 대한한국의 안보를 수호해주길 기대해봅니다.

Posted by 아카아카레

 

미국은 해군 7함대 소속의 조지워싱턴(CVN-73) 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난 1990년 진수한 핵추진 항모로 남한과 북한의 대립구도가 심화되었을 때마다 조지 워싱턴호가 입항된 바 있습니다.

 

 

북한이 조지워싱턴 호를 두려워하는게 보일정도로 입항시 북한은 연일 “조지워싱턴 호의 부산 입항을 비난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도 조지워싱턴 호의 전력이 막강하다는 걸 알고 있는겁니다.

 

 

조지 워싱턴 호는 배수량 9만7000톤급, 니미츠급 초대형 항모입니다. 332.8m에 달하는 긴 갑판과 대형 격납고를 갖추고 슈퍼호넷(F/A-18E/F) 등의 각종 함재기 80대를 실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떠다니는 해군 기지‘로 불리기도 합니다.

 

 

조지워싱턴 호는 엄청난 위력을 갖고 있습니다. 핵 항모지만 이를 통제하는 곳은 5000평의 넓은 비행갑판 한 켠에 외롭게 서있는 아일랜드(Island)입니다. 조지워싱턴 호를 상징하는 73의 숫자가 새겨진 아일랜드는 항모를 전체 감시하고 통제하는 중추신경과 같은 곳입니다.

 

 

독수리 둥지라고 불리는 주항공관제소가 있어 갑판을 한 눈에 감시할 수 있고 항공과 관련된 통제를 합니다. 또한 항모 내외부 곳곳에 감시할 수 있는 카메라를 설치되어 있어 모든 곳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주항공관제소 하부에는 항해 함교가 있어 함장이 여기서 항해를 총괄 지휘합니다. 밑에는항공모함 전투단 사령관이 있습니다. 전투 함교로도 불리는 이곳은 가장 중요한 임무인 전투배치 상황을 지휘하는 곳입니다.

 

 

바로 밑에는 TV 카메라실이 있어 비팽갑판에서 행해지는 모든 작업의 상황을 비디오로 촬영해 항모 전 영역에 라이브로 송출합니다.

 

 

이 모든 일을 가능케 하는 동력은 바닷물에 잠기는 항모 하부에 29만 마력의 A4W 대형 원자로 2기가 설치되어 있고, 증기로 돌아가는 대형 증기터빈 4기에 의해 생생성됩니다. 이 어마어마한 에너지로 항공모함이 운용되고 작전을 펼치게 합니다.

 

 

조지워싱턴 호의 비행갑판은 축구장 3배 크기로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수시로 이,착륙하는 함재기에서 나오는 흰 증기로 비행갑판을 뒤덮습니다.

 

 

흰 증기를 발산하는 사출기는 원자로에서 만들어진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합니다. 함재기가 시속 256km로 급는 콜드 런치(Cold launch)는 함재기가 선미 바로 앞의 물에 박히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조지워싱턴 호와 같은 니미츠급 항모의 사출기는 C-13-1이라고 불립니다. 970만 m/kg의 사출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 사출기는 중량 30t의 항공기를 76.3m의 활주거리를 이용해 시속 0에서 256km로 급가속 시키는 파워를 낼 수 있습니다.

 

 

착함은 4개의 착함제동장치(Arresting Gear)가 경사비행갑판에 탑재되어있습니다. 함재기가 착륙 할 때 걸쇠를 제동와이어에 걸고 끌고 나가면서 제동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때 줄은 유압실린더와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해 에너지가 흡수됩니다.

 

 

그러나 항공모함은 이륙, 착함을 할 때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착함할 때 위험합니다. “처음부터 항공기를 바다 한 가운데서 띄우는 것 자체가 무리수다"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폭풍우가 몰아칠 때, 캄캄한 밤일 경우 시속 300km가 넘는 전투기가 100m 밖에 되지 않는 활주로에 착륙하는 건 위험한 일입니다. 그래서 수많은 조종사들이 목숨을 잃은 바 많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갑판과 이루는 착륙 각도입니다. “최적의 접근 각은 3도 내외지만 조종사의 능력만으로 정확하게 이 각도를 맞추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조종사들은 착함을 할 경우, 경사비행갑판에 순서대로 설치된 4개의 어레스팅 와이어 가운데 주로 두 번째를 목표로 착륙 각을 잡습니다. 이때 갑판과 함재기 사이의 거리는 약 3m 50cm입니다.

 

 

하지만 폭풍우가 치는 해상에서 파도 롤링에 의해 출렁이면, 활주로의 표면이 상승합니다. 이때 고도가 1m 안팎으로 가까집니다. 그렇게 되면 함재기가 선미에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져 매우 위험해집니다.

 

 

반대로 표면이 내려간다면, 고도차는 약 5m로 늘어나 비행기의 착륙 각은 3개의 어레스팅 와이어 지역을 모두 벗어나게 되어 바다에 빠질 위험이 매우 높아집니다. 이때 착륙을 잘 할 수 있도로 각도를 알려주는 게 레이저 착륙유도장치입니다.

 

 

하지만 만약에 고장이 났을 경우를 대비해, 과거에 쓰였던 광학식 착륙유도장치 훈련도 아직 받고는 있습니다. 대형 서치라이트의 빛을 거울로 반사시킨 후 거울에 비친 라이트(미트볼)의 위치를 좌우에 일직선으로 늘어놓은 라이트 열과의 관계로 파악을 합니다.

 

 

따라서 조종사가 착함 시 관점에서 봤을 때, 미트볼이 라이트열보다 위에 있으면 너무 높은 것이고, 아래에 있다면 착륙 진입코스가 너무 낮은 것으로 판단 후 착륙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됩니다.

Posted by 아카아카레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에서 베네수엘라 대통령 니콜라스 마두로가 국가방위군 창설 기념으로 연설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공중에서 두 번의 폭발음이 들렸고 주위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놀라는 모습이 생중계 됐습니다.

 

 

폭발음과 동시에 방탄장비로 경호원들이 마두로 대통령을 에워싸워 경호하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이는 명백한 암살 시도였습니다.

 

 

조사한 결과 이날 폭발음의 요인은 드론(무인기) 2대였습니다. 드론 1 대는 마두로 대통령 인근을 경호하고 있던 부대로부터 격추당하고, 다른 1대는 인근 건물에 폭발해 마두로 대통령은 살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군인 총 7명이 다쳤고, 분석한 결과 드론에는 C4 폭발물 1KG이 실려 있었습니다. 사건이 일어난 직후 어느 반정부단체가 자신들이 벌인 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과거에 행해졌던 암살 방식과 무기는 주로 총기, 휴대용 폭발물을 사용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드론까지 활용해 이른바 공중전까지 투입되어 더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드론은 시설물까지 공격이 가능해 위협적인 무기임이 틀림 없습니다.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하나 더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유전 시설을 드론 공격으로 파괴한 산건입니다. 무려 드론 10대가 700~1000km를 날아온 것입니다.

 

 

이 테러행위에서 사용된 드론은 예맨 반군이 제작한 삼마드 계열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삼마드 드론은 대당 약 1,500만원이면 제작할 수 있을정도로 값이 싸면서도 효과적인 테러무기입니다.

 

 

이 테러행위를 미국은 배후로 이란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란산 무인기 아바빌(Ababil)을 개조했을 거라고 미국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무인기 아바빌은 총 중량 80㎏ 내외, 최대 속도 시속 370㎞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테러를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하는 예멘 후티 반군은 모든 테러집단중 드론을 이용한 테러를 가장 능숙능란하게 사용하고 있는 집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드론을 이용한 테러나 암살이 정말 무서운 것은 위미용 드론까지도 얼마든지 무기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수니파 무장 조직 ‘이슬람국가(IS)’는 소형 ‘쿼드콥터' 를 이용한바 있습니다. 이 드론은 온라인에서 상업용 드론을 산 뒤 수류탄을 장착해 킬러드론을 만든 바 있습니다.

 

 

드론의 최장점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용할 수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이착륙하는 여객기외 전투기, 헬리곱터에도 드론을 날려 폭발시킬 수 있음은 물론, 화재 위험이 취약한 원자력발전소같은 건물도 공격해 화재를 일으키는 공격도 가능합니다. 

 

 

때문에 가장 두려워해야 할 ‘인공지능(AI) 로봇’으로 드론을 지목하는 군문가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에 ‘안티 드론’ 기술에 소리가 커지고 있기도 합니다. 

 

 

이런 드론의 공격을 막을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크게 소프트킬과 하드킬로 나뉩니다. 드론에 방해전파를 발사해 조종능력을 상실하는 방식인 소프트킬. 소프트킬은 저렴하면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많이 쓰입니다. 

 

 

‘드론 센트리’, ‘드론 트래커’가 소프트 방식을 사용합니다. 미군은 소총처럼 조준해 사용하는 ‘드론 디펜더’라는 장비를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전파를 교란하면 다른 통신 장비도 같이교란된다는 점입니다. 또한 GPS를 이용하는 드론에는 무력하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단거리방공시스템(SHORAD)으로 직접적으로 드론을 격추하는 하드킬 방식도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레이저를 사용해 드론을 공격하는 '드론 다우너'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드킬 방식은 개발과 운용에 비용이 많이 발생이 됩니다. 또한 드론이 격추되어 떨어질 때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도 충분히 있습니다. 현재 영국의 오픈웍스는 그물탄을 발사해 드론을 포획 후 낙하산을 이용해 낙하속도를 떨어뜨려 피해를 막는 ‘스카이월’을 개발되고 있습니다.

Posted by 아카아카레